친형제는 한 부모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닮은점이 많다. 외모가 닮기도 한다. 행동하는 방식이나 성향이 닮기도 한다. 그렇다면... 의형제는 사회라는 현 시대의 공통분모를 가지고 살아가기 때문에 닮은점이 생기게 된다. 각자 처한 현실의 상황이 닮은 사람들끼리 묶이게 되기 마련이다. 영화에서의 의형제는 조직에 버림 당한 후 자신의 가치를 찾기 위해 불안해 하는 동시에 고분분투 하는 과정에서 서로 동병상련의 아픔을 느끼게 되어 의형제가 된다. 사람이란, 마음을 주고 받을 수 있기에 피 한방울 섞이지 않은 타인과도 의형제라는 타이틀 아래에 하나로 묶일 수 있는 것은 아닐까? 하긴... 돈 때문에 형제 끼리도 연을 (쉽게) 끊는 이 시대에 의형제는, 외로움을 거부하는 존재인 사람에게는 필연적인 '..
Hobby/Movie
2010. 2. 16. 17:55